여행, 취미 그리고 잡설

이슬람을 알아보자 본문

리비아

이슬람을 알아보자

☜▩^^▩☞ 2009. 10. 7. 19:52

기독교 및 불교와 함께 세계 3대 종교라 일컬어지는 전세계 15억 인구의 종교 이슬람교.

Islam by Country

출처 : Wikipedia
녹색과 파란색이 각 나라의 이슬람교 비율이다. 녹색은 수니파, 파란색은 시아파 이슬람이다. 북아프리카에서 중동, 중앙 아시아, 동남아시아로 이어지며, 이슬람 교도의 수가 가장 많은 나라는 인도네시아와 방글라데시다. (지도상에 북한과 대만 등이 검은색으로 표기되어 있는데, 이슬람 교도가 없는 나라가 아닌가 생각된다)

이슬람교의 창시자는 마호메트이며, 그 경전은 코란이고, 성지는 메카다. 이 정도가 이슬람에 대해 아는 것의 대부분이었다. 그렇지만, 이슬람 국가에 체류하게 된 이상 이들의 언어와 문화를 이해하려면 이슬람에 대해 조금은 더 알아야겠다는 생각에 인터넷을 통해 열심히(?) 공부를 해봤다. 그런데 너무 몰라서 조금 알아보려 했던 것이, 하나를 들춰낼 때마다 너무 많은 게 쏟아져 나와 계속 다른 것을 들춰보게 만드니, 종교란 게 역시 간단하게 말할 수 있는 건 아닌가 보다.

가장 먼저 부딪힌 건 위에 언급한 세 단어의 발음이다. '무함맏(마호멧)', '꾸란(코란)', '마카(메카)'가 더 맞는 발음 되겠다. 그리고 하나 더, 이슬람은 무함맏이 만든 종교인가? 기독교를 예수가 만든 것이 아니듯 이슬람도 무함맏이 만든 종교가 아니다. 기존의 종교를 바로 세웠다는 표현이 더 적절한데, 그 기존의 종교란 다름아닌 기독교다. 어, 기독교!?

기독교 성경에 대해 약간이라도 지식이 있는 사람은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이란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그는 노아의 12대손으로 아들로는 이스마엘과 이삭 등이 있었는데, 이삭을 제물로 바칠 뻔 한 이야기가 유명하다. 헌데 이 이삭의 형 이스마엘이 아랍인의 조상이자 무함맏의 조상으로 일컬어지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다시 한 번 발음교정에 들어간다. 아랍어로는 이브라힘(아브라함), 이스마일(이스마엘), 이스학(이삭) 되겠다. 이쯤에서 눈치챈 분들도 계시겠지만, 결국 이슬람 역시 하느님이 창조하신 아담의 후손들이다.

꾸란에는 하느님께서 예언자들을 통해 하느님의 말씀을 전했다고 하며, 특히 그 중 네 명을 '라쑬룰 라(하느님이 보낸 사람)'라고 하는데, 다름아닌 '이브라힘(아브라함)', '무사(모세)', '이사(예수)', '무함맏' 이 그들이다. 또한 '자부르(시편)', '타우라(모세오경)', '인질(신약성서)', '꾸란'을 하느님의 계시로 믿는데, 다만 꾸란 이전의 성경은 기록하고 전달하는 과정에서 사람에 의해 변질됐기 때문에 '꾸란'을 온전한 하느님의 말씀으로 믿고 있다. 이 때문에 꾸란에 쓰여진 아랍어가 하느님과 소통할 수 있는 유일한 언어이자 모든 아랍어의 완벽한 원형으로 보고 있으며, 다른 언어로 번역된 꾸란은 성경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140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 원본 꾸란의 아랍어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Hand written Quran

출처 : Wikipedia, 사진 : Homoludens
사진은 사우디아라비아 국립박물관에 전시된 수필 꾸란이다. 꾸란은 총 114장(수라) 6342절(아야)로 구성되며, 기도할 때 첫번째 장을 암송한다고 한다. 꾸란의 정확한 발음은 '꾸르안(Qur'an)'에 가깝다.

기독교와 이슬람교의 가장 큰 차이는 '메시아 사상'에 있다고 한다. 기독교는 구세주로 인해 우리 모두가 구원을 받았으므로 구세주를 믿음으로써 천국에 갈 수 있다. 이슬람교는 '구세주'란 중재자 없이 신을 믿고 선행을 쌓으며 진실로 자신의 죄를 회개하면 천국에 갈 수 있다고 믿는 것이다.

꾸란(의미의 한국어 번역)(소책자)
카테고리 종교
지은이 편집부 (파하드국왕꾸란출판청, 2009년)
상세보기

위키피디아 : 꾸란



반응형

'리비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비아의 이동통신 사용안내 - 1. 휴대전화 개통  (0) 2009.10.09
리비아의 화폐, 디나(Dinar)  (2) 2009.10.08
차에 타기가 무서워  (6) 2009.10.06
리비아 입국 준비물  (13) 2009.10.06
출발, 낯선 땅으로  (2) 2009.10.04
Comments